본문 바로가기
팁과 정보/생활정보

거에요 거예요, 올바른 우리말 표현은?

by 우가스토리 2022. 7. 30.

헷갈리는 맞춤법 '거에요' vs '거예요', 여러분은 어떻게 알고 계시나요?

자주 쓰는 표현이지만 내가 바르게 사용중인지 애매할 때가 많죠.

 

거에요 vs 거예요 사이에서는 '거예요'가 맞는 표현이랍니다.

의존 명사 '거' 에 서술격 조사 '이다' 의 활용형인 '-이에요' 가 결합된 구성으로, '-이에요'의 준말인 '-예요' 를 붙여 '거예요' 로 표현하는 것이 바른 표현입니다.

 

거에요 X

거예요 O

 

다만 앞에 '거' 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에요, -예요 표현은 경우에 따라 사용이 다릅니다.

'거예요' 외에도 많이 사용하는 '-에요' vs '-예요' 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에요 vs -예요

 


-에요, -예요 표현 완전 정복하기


1. '-예요' 는 '-이에요' 의 준말

이에요

'이다' 의 어간 뒤에 ‘-에요’ 가 붙은 말입니다.

 

예요

'이에요' 의 준말로 '예요' 라고 사용합니다.

 

2. 받침 유무에 따라 다르게 사용

이에요

받침이 있는 체언의 뒤에 붙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양말이라는 체언 뒤에 붙을 때에는 '양말이에요' 라고 표현하고 '양말이예요', '양말예요' 는 틀린 표현입니다.

 

예요

받침이 없는 체언의 뒤에 붙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티셔츠라는 체언 뒤에 붙여서 '티셔츠예요' 라고 표현하고, '티셔츠이에요' 는 틀린 표현입니다.

 

받침이 있을 때 vs 없을 때

 

3. 인명에서의 사용은 '-예요'

받침이 없는 이름

'수지' 나 '철수'  같은 인명은 이름 자체에 받침이 없으므로 '수지예요', '철수예요'  라고 표현하면 됩니다.

 

받침이 있는 이름

예를 들어 '현석' 이라는 받침이 있는 인명일 때, '현석' 은 '현석이' 로 '-이' 를 붙여 말하므로 (현석 ☞ 현석이) '현석이' 는 받침이 없는 체언이 되어 '현석이에요' 가 아닌 '현석이예요' 가 바른 표현입니다.

 

4. '아니에요' vs '아니예요'  중 바른 표현은?

'아니예요' 는 잘못된 표현

‘아니다’는 용언이므로 ‘-이에요' 가 결합하지 않고 어미인 ‘-에요’ 만 결합하여 사용합니다.

즉 '아니에요' 로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서 줄임말은 '아녜요' 입니다. '아니예요' 는 틀린 표현입니다.

네이버 카페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댓글